도쿠위키
도쿠위키란?
도쿠위키는 독일에서 만들어진 설치형 위키이다. php로 되어있으며 DB가 아닌 파일기반이라 꽤 가볍고, 백업도 편리한 편. 현재 이곳(Elf'sNote)이 도쿠위키로 운영되고 있다.
도쿠위키의 장점
도쿠위키의 단점
- 마크업 언어에 대한 추가학습이 필요하다.(익히면 편하다. 익히면…)
- 플러그인에 대한 추가학습 역시 필요하다. 귀찮지만 어쨌든 위지웍인 제로보드 애드온과는 차이가 있는 편.
- 문서리스트를 정리해주지 않는다. 자유롭지만,그만큼 작업비용은 늘어난다.
- 섬 문서도 생길가능성이 높다.
도쿠위키는 누가 좋아하는가?
아무래도 일반인보다는 텍스트편집 / 하드코딩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맞는듯. 작업 난이도를 보자면…
위지웍<위키편집<하드코딩 정도인지라…
아무래도 위지웍에 익숙한 (글쓰기 일반인들이 쓰기 꽤 힘든 면이 있다. 그래서인지 도쿠위키 등을 사용하는 층을 보면, 대부분 프로그래머나 개발자가 많은 편이다.4) 꽤나 아쉬운 부분. 숲을 위키랑 연동시킬까 싶긴 한데.. 시린이라던가.. 받아들일지는 의문이다.
CMS로서의 도쿠위키
좋은 점은 편집을 통해 다양한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만들수 있다는 점. 제로보드의 경우 레이아웃을 먼저 만들고, 거기에 컨텐츠를 채워넣는 감각에 가깝다면, 도쿠위키는 그자리에서 레이아웃과 컨텐츠를 같이 짜는 형태에 가깝다. 사실 그냥 html로 홈페이지 만들때랑 초큼 비슷한 느낌도 있다. Heading과 hr, 적절한 이미지를 사용하면 꽤 페이지가 예뻐져서 애용중.
왜 이곳은 도쿠위키를 사용하고 있는가?
엘프화가의 개인공간을 만들기위해 꽤 많은 시스템을 고려했었다. 해외사이트도 많이 뒤졌고.
그중 최후까지 고려되었던 것이 바로 도쿠위키와 제로보드.
그러나 점점 마음은 도쿠위키로 기울고 있다. 이미 모든 자료를 도쿠위키로 작업/정리 중.
그 이유중 하나는 파일기반이라는 점. 워낙 자주 서버를 폭파시키고 또 붙여넣고 하는 편이라… 쉽게 이전이 가능한 편이 좋다.(라기보단 X같은 제로보드이전에 지쳤다. 썅)
그래서 결국 파일기반의 도쿠위키를 시작..
특히 컴퓨터내에서 사용할수 있는 Dokuwiki on Usb 로 기본데이터를 정리하면서 좀더 손쉽게 관리가 가능해졌다. 완전편해!!
참고링크
원래는 설치방법에 대한 글을 진행해볼까 했었는데… 찾아보니 도쿠위키에 관한 글이 꽤 많았다.. +ㅅ+ 내가 어설프게 잘난척 하면서 적는 것보다 좀더 잘 아시는 분들의 글들을 링크하는 게 나을 것 같아 정리해보았다.
- 도쿠위키 공식사이트 - 도쿠위키 공식사이트
- 플러그인다운로드 -도쿠위키 플러그인을 다운받을수 있다.
- http://blog.storygames.kr/entry/dokuwiki - FTP를 통한 설치방법을 A-Z까지 세세히 설명해주는 블로그 포스트글.
- 금오공대 소프트웨어시스템연구실 - 도쿠위키로 만들어진 사이트. 연구소 등의 소규모 커뮤니티에서 어떻게 쓸지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 ACL관련예시도 잘되어있는 편.
- 도쿠위키에 대한 팁이 있는 위키 역시 도쿠위키로 만들어진 사이트. WRAP플러그인을 써서 꽤 깔끔하게 정리해두셨다(내가 Wrap을 사용하게 된 계기). 중요 플러그인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예제도 있으니 참고하면 좋음.
- http://wiki.falinux.com/doku.php?id=wiki:wikistart 역시 도쿠위키로 만들어진 사이트. 마치 일반 사이트같은 느낌으로 제작되었다. 좋으네.
- 위키를 블로그로 쓰는 법.. 위키를 블로그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글.
- http://vaslor.net/blog/daumview 다음뷰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한 위키글. 위키를 꽤 잘 꾸며놓으셨다.
- http://www.cocos2d-iphone.org/wiki/doku.php/ko:prog_guide:index - COCOS2D 관련 위키. 서적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를 잘 알수 있다.
- Default 테마에 프린트뷰 버튼 추가 - 도쿠위키에 프린트뷰버튼 넣기 정보.Default 테마라곤 하는데 대부분 적용가능하다.그 외에도 괜찮은 내용이 많은 위키니 참고하자
- 기타 : 구글에서 doku.php 로 검색하면 생각보다 꽤 나온다.rewrite를 안쓰면, 저 php파일이 그대로 드러나거든.5) 한국어웹사이트로 제한검색하면 좀더 참고할 사이트가 많이 나오는 편
- 기타2: driven dokuwiki 로 검색해도 나온다. ㅋ
쓸만한 플러그인
이곳에서 사용하는 플러그인들 정리. 끝에 적힌 작동방식은 내가 안까먹을라공.
- tag: 태그링크를 만들어줍니다. 원하는 곳에 삽입가능해서 꽤 편하다. {{tag>tag1 tag2}}
- Disqus: 댓글서비스인 디스커스 플러그인을 달아준다. 사용방식은 ~~DISQUS~~
- include: 다른 페이지 내용을 불러들이는 플러그인. 특정페이지일 경우 {{page>ns}} 특정태그 페이지의 경우 {{tagtopic>junk}}
- pagemove: 페이지 위치를 바꿔줄뿐만 아니라, 관련 링크도 모조리 수정해준다. 완전좋다. 단 namespace변경시 묘한 버그가 있다;
- Indexmenu: 좌측의 트리메뉴를 만들어주는 플러그인. 예전에 한번 업데이트하다가 꼬이면서8) 잘 안나오다가 다시 잘나와서 사용중이다. 폴더는 title별 소팅이 안되는게 조금 아쉬운 점.
- Task: 문서를 기반으로 할일리스트를 생성해주며 진행사항을 트래킹할 수 있는 플러그인. 이슈트래커로 쓸수 있다.
- Todo : 문서 안에 체크리스트를 넣을 수 있는 플러그인. Task 와 혼용해서 쓰면 유용하다.
- imgpaste : 클립보드의 이미지를 붙여넣기 하면, 업로드해주는 편리한 플러그인. 크롬에서만 되는 게 흠.
- markdowku : 도쿠위키에서 아무런 제한없이 마크다운 언어를 혼용할 수 있다.마크다운 언어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필수.